유희조 ti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유희조 ti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6)
    • 게임 (54)
      • steam (8)
      • 모바일게임 (41)
    • 공부 (10)
      • QA (5)

검색 레이어

유희조 ti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부/QA

  • [QA] 테스트 레벨

    2024.03.19 by 으뜸정신

  • [QA] 테스트 프로세스

    2024.03.18 by 으뜸정신

  • [QA] 테스팅이란? 및 용어 정리

    2024.03.16 by 으뜸정신

  • [QA] 테스팅의 일반적인 원리

    2024.03.15 by 으뜸정신

  • [QA] 오류 vs 장애 vs 결함

    2024.03.15 by 으뜸정신

[QA] 테스트 레벨

테스트 레벨이란 함께 분류되고 관리되는 테스트 활동의 집합을 지칭한다. 컴포넌트 테스팅 통합 테스팅 시스템 테스팅 인수 테스팅 이 있다. 테스트의 목적, 목표, 테스트 베이시스, 테스트 대상과 같은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며 각각 테스트 레벨의 특징에 맞게 다르게 정의되고 식별되어야 한다. 컴포넌트 단위 테스트 혹은 모듈 테스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테스트가 가능한 최소단위(모듈, 프로그램, 객체, 클래스)로 나누어진 소프트웨어 내에서 결함을 찾고 그 기능을 검증하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춘다. 컴포넌트 테스팅의 목적은 기본 경로, 오류 처리 경로 확인 컴포넌트 내의 인터페이스 확인 리스크 완화 컴포넌트의 기능과 비기능 동작이 설계 및 명세와 일치하는지 여부 판단 컴포넌트..

공부/QA 2024. 3. 19. 15:04

[QA] 테스트 프로세스

테스트 프로세스는 테스팅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의도된 테스트 목적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테스팅의 모든 구성 요소를 엮어주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인 테스트 프로세스는 1. 계획과 제어 2. 분석과 설계 3. 구현과 실행 4. 완료 조건의 평가와 리포팅 5. 테스트 마감 활동 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테스트 계획과 제어 테스트 계획은 테스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를 확인하고 필요한 활동을 정의하는 것이다. 즉 테스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요한 접근법을 정의하는 활동이다. 테스트 일정 수립 (적합한 테스트 기법과 작업을 명시, 정해진 출시 일정 전에 완료하기 위한 일정) 리스크 결정 (테스트 범위와 테스트를 위한) 테스팅의 목적에 대한 식별 완료 조건 결정 및 테스트에 필요한 ..

공부/QA 2024. 3. 18. 17:08

[QA] 테스팅이란? 및 용어 정리

테스팅이란?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한 장애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vs 디버깅 디버깅은 장애의 원인을 찾고 분석해서 수정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개발 활동이다. 테스트 베이시스 테스트 분석 및 설계의 기초로 사용되는 지식 체계로 테스트 분석, 설계 단계의 논리적인 케이스로 테스트 케이스 설계를 위한 기준이 되는 문서 요구사항을 보여주는 문서(요구사항 명세서, 관련 기준 또는 표준)를 의미한다. 테스트 컨디션 테스팅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사전조건, 입력값, 예상결과, 실행 사후조건의 집합을 의미한다. 테스트 베이시스로 파악된 컴포넌트나 시스템의 테스팅 가능한 측면을 의미한다. 하나의 테스트 컨디션에서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가 만들어 질 수 있다. 테스트 명세 테스트 항목에 대한 테스트 디자인, 테스트 케..

공부/QA 2024. 3. 16. 13:19

[QA] 테스팅의 일반적인 원리

원리 1 : 테스팅은 결함이 존재함을 밝히는 활동이다 테스팅은 결함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줄 수 있지만 결함이 없다는 것을 증명할 수는 없다. 즉 테스팅은 결함이 존재함을 밝히는 활동이다. 원리 2 : 완벽한 테스팅은 불가능하다 왜 완벽한 테스팅이 불가능하냐? 1. 한 프로그램 내에서의 내부조건이 무수히 많음 (무한 경로) 2. 입력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값의 조합이 무수히 많음(무한 입력값) 3.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벤트 발생 순서에 대한 조합이 많음(무한 타이밍) 따라서 완벽한 테스팅보다는 리스크 분석과 우선순위를 토대로 테스트에 노력을 집중하는 것이 좋다. 원리 3 : 테스팅을 개발초기에 시작한다. 개발 수명주기에서 가능한 초기에 시작되어야 하며 설정한 테스트 목표에 집중해야한다..

공부/QA 2024. 3. 15. 16:48

[QA] 오류 vs 장애 vs 결함

오류, 장애, 결함 처음에는 비슷한 의미로 느껴졌지만 자세한 의미로 보면 다른 뜻으로 사용된다. 오류 ERROR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인간의 활동, 실수를 말하며 결함의 원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요구사항과 설계 등에 대한 프로젝트 참여자 간의 의사소통의 문제 2. 불충분한 요구사항, 시간 압박 등으로 인해 사람들이 실수 3. 개발자가 계산식을 잘못 이해 와 같이 인간의 판단이 잘못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함 DEFECT 요구된 기능을 적절히 처리하지 못하는 것 오류로부터 생성된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시스템 안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의미한다. 버그, 결점으로 부른다. 예를 들어 오류를 인지하지 못하고 잘못된 계산식으로 코딩 이 있다. 결함의 근본 원인은 해당 결함을..

공부/QA 2024. 3. 15. 15:5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유희조 ti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